본문 바로가기
영양제 이야기

마그네슘, 저는 300mg 먹습니다. 효능과 권장섭취량, 상한섭취량은?

반응형

이번에는 마그네슘의 효과, 제가 산화마그네슘을 먹는 이유, 그리고 우리나라와 미국의 마그네슘 권장섭취량과 상한섭취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그네슘의 효과는?

마그네슘은 코팩터(Cofactor)입니다.

코팩터란 효소 활동에 관여하거나 촉매로 작용하는 물질들을 의미합니다. 크게 두 가지 코팩터로 나눌 수 있는데, 유기질 코팩터와 무기질 코팩터입니다.

유기질 코팩터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코엔자임(Coenzyme)입니다. 비오틴, 아스코르브산, NAD, 코큐텐(Coenzyme Q10), 글루타치온 등이 코엔자임이죠.

무기질 코팩터는 말 그대로 무기질, 즉 금속이온을 가진 물질들입니다. 마그네슘, 아연, 철, 망간 등이 무기질 코팩터입니다.

마그네슘은 무기질 코팩터로 작용하면서 단백질 합성, 근육/신경기능, 혈당/혈압 조절, 심장 수축, 뼈 건강, DNA/RNA 합성 등에 작용합니다.

제가 직접 먹어보고 느낀 효과는 일단 잠이 잘옵니다. 다른 건 몰라도 잠이 쏟아지는 건 확실했습니다. 😂 마그네슘 글리시네이트는 졸려지는 속도가 더 빠른 느낌이었고, 산화마그네슘은 졸릴 때까지 좀 시간이 걸리는 느낌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녁에 드시면 더 좋을 것 같네요. 😊

 

제가 산화마그네슘을 먹는 이유

Magnesium Oxide, Citrate, Malate, Glycinate, Taurate, L-Threonate, Chloride, Carbonate, Sulfate, Hydroxide, Aspartate 등 마그네슘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시트레이트, 말레이트는 마그네슘에 유기산이 붙어있어 흡수율이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트레이트는 구연산이, 말레이트는 말산이 붙어있습니다.

글리시네이트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글리신(Glycine)이 붙어있고요. 시트레이트/말레이트보다 더 흡수율이 좋습니다.

타우레이트도 아미노산중 하나인 타우린(Taurine)이 붙어있어 심장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트레온산 마그네슘은 Magtein, Neuro-Mag 등의 제품이 있으며 뇌 건강에 특화되어있는 형태입니다. 

Chloride, Carbonate, Sulfate, Hydroxide, Aspartate 형태는 개인적으로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제가 먹는 마그네슘의 형태는 시트레이트+옥사이드(구연산 마그네슘+산화마그네슘)입니다.

간혹 산화마그네슘은 흡수율이 4%밖에 안되며 먹어봤자 아무 소용도 없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산화마그네슘으로도 잠이 잘 오는 걸 보니 확실히 효과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마그비의 의약품 정보 이미지입니다.
마그비의 의약품 정보

그리고 일반의약품에도 산화마그네슘이 사용됩니다. 산화마그네슘이 아무 효과도 없었다면 일반의약품으로 승인받을 수 없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효과도 충분한 데다가, 가격도 저렴한 산화마그네슘을 굳이 안 먹을 이유가 없죠. 😂

 

권장섭취량과 상한 섭취량

우리나라의 마그네슘 섭취기준 이미지입니다.
우리나라의 마그네슘 섭취기준
미국의 마그네슘 섭취기준 이미지입니다.
미국의 마그네슘 섭취기준

우리나라보다 미국의 마그네슘 섭취 기준이 살짝 높네요. 마그네슘 제품들 중에 한 알에 500mg씩 들어있는 제품들이 있는데, 500mg은 너무 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투퍼데이에서 50mg, 다른 마그네슘 제품에서 250mg을 섭취해서 하루에 총 300mg을 먹고 있습니다. 😊 예전에 500mg짜리를 먹어본 적이 있었는데, 잠이 진짜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쏟아지더라고요. 😂

반응형